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및 혜택 총정리

by 해피한 정보 2025. 1. 30.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가구 소득 수준을 비교하고 지원 자격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로, 기준중위소득은 가구 소득 수준을 비교하고 지원 자격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로, 특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주거급여, 교육비 지원 등 다양한 복지 정책의 기준이 됩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의 주요 내용과 변화된 점,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받을 수 있는 혜택들을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썸네일

 

아래 표와 함께 중위소득을 활용한 지원금 신청 꿀팁도 알려드릴게요!

목차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월 소득 기준)

중위소득 및 가구원 수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32% 이하(생계급여) 765,444 1,258,451 1,608,113 1,951,287 2,274,621 2,580,738
40% 이하(의료급여) 956,805 1,573,063 2,010,141 2,439,109 2,843,277 3,225,922
48% 이하(주거급여) 1,148,166 1,887,676 2,412,169 2,926,931 3,411,932 3,871,106
50% 이하(교육급여) 1,196,007 1,966,329 2,512,677 3,048,887 3,554,096 4,032,403

 

가구원 수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중위소득 60% 1,435,208 2,359,595 3,015,212 3,658,664 4,264,915 4,838,883
중위소득 65% 1,554,808 2,556,228 3,266,479 3,963,552 4,620,325 5,242,123
중위소득 70% 1,674,409 2,752,861 3,517,747 4,268,441 4,975,734 5,645,364
중위소득 72% 1,722,249 2,831,514 3,618,254 4,390,397 5,117,898 5,806,660
중위소득 75% 1,794,010 2,949,494 3,769,015 4,573,330 5,331,144 6,048,604
중위소득 80%  1,913,610 3,146,126 4,020,282 4,878,218 5,686,554 6,451,844
중위소득 85% 2,033,211 3,342,759 4,271,550 5,183,107 6,041,963 6,855,084
중위소득 100% 2,392,013 3,932,658 5,025,353 6,097,773 7,108,192 8,064,805
중위소득 120% 2,870,416 4,719,190 6,030,424 7,317,328 8,529,830 9,677,766
중위소득 150% 3,588,020 5,898,987 7,538,030 9,146,660 10,662,288 12,097,208

 

✅ 기준중위소득별 혜택

 

1. 생계·주거·교육 급여

  •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 의료급여: 기준 중위소득 40% 이하.
  • 주거급여: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 교육급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2. 청년 지원금

  • 청년 기본소득, 면접수당, 취업장려금 등: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청년 대상.
  • 예) 1인 가구 소득이 월 3,007,334원 이하인 경우 신청 가능.

 

3. 출산·육아 지원금

  • 출산 장려금, 산후조리비 지원: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대상.
  • 예) 4인 가구의 경우, 소득이 월 9,671,837원 이하라면 지원금 신청 가능.

 

4. 기타 지원

  • 난방비·전기요금 바우처: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 저소득층 에너지 바우처: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가구.
  • 청년 노동자 통장: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청년.
 

 

✅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

기준 중위소득 비율 계산 공식:

가구 소득 ÷ 기준 중위소득 × 100

예) 3인 가구의 월 소득이 5,500,000원일 경우:

(5,500,000 ÷ 5,314,233) × 100 = 약 103.5%

→ 기준 중위소득 100%를 초과하여 생계급여, 주거급여 등 신청 불가.

 

👉 기준중위소득 계산하기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신의 상황에 맞는 지원을 찾는 데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

 

오늘 소개한 내용을 통해 기준중위소득을 이해하고, 해당되는 지원 혜택들을 놓치지 않고 챙겨보세요. 작은 관심과 실천이 삶의 질을 높이는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정부가 제공하는 복지 제도를 제대로 활용하여 2025년을 더 안정적이고 풍요롭게 만들어가시길 바랍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변동되나요?

A1. 네,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에서 새롭게 발표합니다.

Q2. 기준 중위소득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2. 보건복지부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매년 기준 중위소득 표를 발표합니다.

Q3. 가구원 수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A3. 주민등록상 세대별 가구원 수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단, 일부 지원금은 실질적 동거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4. 기준 중위소득 초과 시 다른 지원금은 없나요?

A4. 기준 중위소득 초과 가구라도 일부 지원금(예: 전월세 보증금 대출 이자 지원)은 신청 가능합니다.